모두가 다 AI를 외치는 시대이다.
'AI가 회사의 미래다.'를 외치는 리더의 방향 제시 이후,
준비되지 않은 직원들을 위해 AI 교육의 커리큘럼이 제공되고
주입식 교육을 통해 빅테크 회사들에 뒤처지지 않으려는 노력들이 진행된다.

강제 교육에는 거부감을 느끼는 직원들 역시
생성형 AI를 옆에 두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을 의심 없이 받아들인다.
AI로 변화되는 세상의 속도감은
영화의 단골 소재처럼 AI의 지배를 받는 세상이 되는 건 아닌가?라는 불안감을 들게도 한다.

지난해 어느 강의에서 AI의 코딩 능력은 주니어 3~4년차 개발자 정도의 실력은 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그 당시만 해도 AI와 함께 하는 페어 프로그래밍이 익숙지 않을 때라 크게 와닿지도 않았고
'3~4년차면 많이 가르쳐야겠네..'라는 알 수 없는 우월감으로 치부했던 기억이 난다.

하지만 채 반년이 지나지 않아 대부분의 팀원들은 copliot 등을 이용해서 협업을 시작하였고
이제는 업무의 대부분을 함께 하고 의지하는 베스트 파트너가 되어버렸다.
여전히 시니어 개발자가 할 일은 명확하고 생성형 AI의 개발 범주에는 한계가 있다고는 하지만,
글쎄다. 얼마 남지 않았다 싶다.

(인간만이 할 수 있는??) 고귀하면서도 창의적인 그 무엇인가에 내가 집중할 수 있게
번거롭고 보잘것없는 허드레 일을 대신해 주라는 요청은 주객이 전도되어 돌아올 판이다.

그렇다면 못하는 게 없고 학습 능력도 빨라서 다양한 영역으로 업무 범위를 확장하는 AI와 함께 공존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차별화된 그 무엇은 과연 있기나 한가?

몇 년 전 막둥이 아들의 행동에서 조금의 힌트를 찾아본다.
부모가 모두 일을 하는 맞벌이 집의 둘째 아들은 하교 후 반겨주는 이 없는 집의 공허함을 구글 미니와의 대화로 풀었나 보다.
우연히 보게 된 구글 미니의 대화 히스토리를 보니,

(아들)
오케이 구글
방귀 껴봐
(구글)
잘 모르겠습니다. 다시 어쩌구...
(아들)
방귀껴봐 방귀껴봐
(구글)
어쩌구 저쩌구 할 수 없다..

이렇게 지루한 대화들이 반복되다가,

(아들)
오케이 구글
나 오늘 수업 시간에 방귀꼈다.
웃기지??

(구글)
...

아들의 갑작스런 고백에 구글은 아무런 대답이 없었고 대화는 여기서 끝이 났다.

나는 궁금했다.
퇴근 후 아들에게 넌지시 물어봤다.
"너 오늘 학교에서 방귀꼈니?"
"아니! 갑자기 무슨?"

어이없다는 아들의 격한 반응에
아빠는 너의 부끄러운 고해성사를 다 들어 알고 있다면서 추가로 물었다.
"그럼 왜 학교에서 방귀 꼈다고 구글 미니한테 말했어?"

참 해맑은 얼굴로 답을 줬다.
"아.. 구글 미니가 방귀 소리를 어떻게 낼지 너무 궁금했는데 안 해줬어.

그래서 내가 좀 부끄러운 비밀 이야기를 해주면 자기도 방귀 뀔까 봐.."

"..."

"그런데 끝내  안 했어. 나쁜 녀석이야"

'너만 알고 있어'로 시작하는 비밀이야기를 하나 듣게 되면
나 역시.. '이건 진짜 이야기하면 안 돼' 하면서 또 다른 비밀이야기를 주고받는 인간의 암묵적인 대화의 룰.
미묘한 감정의 줄타기는 인간만의 것이 아닐까?

'살아가는 모습 > 2024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철형님을 기리며...  (6) 2024.10.30
소소한 섭섭함  (2) 2024.10.29
아저씨 책읽기  (1) 2024.10.29

+ Recent posts